복지

정책

현장뉴스

일반

정치

경제

사회

일자리

실버산업

라이프

건강

문화

기획 / 인물

기획

인물

지역 / 노인회

지역

노인회

지회포커스

오피니언

칼럼

사설

기고

커뮤니티

금융/법률 정보

확대 l 축소

[복지칼럼] 영화 ‘기생충’이 보여주는 반지하 특유의 냄새

김용식 논설위원 (부산시노인복지단체연합회장)
참으로 대단한 사고를 쳤다. 한국 영화가 100년 역사 속에 1962년 신상옥 감독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가 아카데미에 처음 출품한 이후, 영어 언어장벽을 넘어 전 세계 영화 역사를 새로 쓰는 ‘기생충’ 영화가 기적 같은 4관왕 수상의 소식은 우리 모두를 놀라게 하였다.  지난 2월 9일 미국 할리우드에서 열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봉준호 감독이 만든 ‘기생충’이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 4개의 트로피를 받는 영광은, 영화를 즐겨보는 광팬으로서 내가 마치 큰상을 받는 찬탄의 박수를 보내곤 하였다.
 
처음 국내에서 개봉되었을 때 한국사회의 양극화 현실을 실질적으로 구김 없이 그려낸 좋은 영화로만 알았지, 이렇게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홈런을 칠 줄은 정말 몰랐다. 아카데미 시상식은 1929년 할리우드에서 시작하여 미국 최대 영화상(賞)으로 영화인이면 한 번쯤 받고 싶은 행사로, 회원 8,400명이 투표로 수상자를 결정하는데 91%가 백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연유로 비영어권에서는 수상의 기회가 거의 전무한 상태로 백인들의 잔치로 변모하여 편향된 인종차별이란 오명이 있었고, 할리우드 지역 축제라는 비아냥거림에 이번에는 확실히 달랐다.
 
이번 기생충의 4관왕 수상에 대하여 세계적 찬사가 이어지고, 특히 봉준호 감독의 수상소감에서 언어의 천재성을 유감없이 발휘하는 대목은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조적이다”고 말한 후 같이 후보상으로 오른 거장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에게 기립박수를 넘기는 재치 있는 여유로움을 보여 주어 박수를 많이 받았다. 그뿐 아니라 이번 수상의 영광 뒤에는 이를 지원하는 CJ ENM의 이미경 부회장을 뺄 수 없어, 그는 이재용 삼성그룹 부회장의 사촌 누님이 된다. 삼성가에서 한쪽은 반도체, 핸드폰으로 세계를 휘어잡고, 이번에는 한국의 문화 콘텐츠로 세계를 놀라게 하니, 대망을 갖고 홍보비 100억을 지원한 결단에 다시금 박수를 보낸다.
 
그런데 이제 기생충의 내용 면에 들어가 보면 영화는 우리에게 무엇을 남기려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갖는다. 단지 이분법으로 양극화를 비난하고 사회의 모순성을 고발하는 내용으로 보아야 하는지? 아니면 한국적 현실에서 겪어야 할 반지하 방 생활에서 뜰이 있는 강남의 집을 기대하면 해 뜰 날을 기다려야 하는 것인지? 그러기 위해서는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남을 속이고 사기를 치고 목적을 쟁취하는 것이 잘사는 것인지를 묵시적으로 제시하는 것인지를 알 수가 없다. 
 
저마다 상대적 빈곤으로 집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는 이상의 경쟁 속에서, 오늘도 정부의 주택정책을 놓고 찬성과 반대가 평평한 가운데, 자기 집을 갖기 위한 욕망과 해법은 각각 다르다. 보금자리를 찾지 못하는 젊은이들은 두 시간 출근길도 감수해야 변두리 집을 겨우 구하는 행운도 쉽지 않지만, 돈 있는 졸부들은 모두들 강남으로 노래 부르니 그들은 모두가 투기꾼들이요 자기 배만 불리고자 하는 별 동네 사람들이다. 
 
남이야 반지하 방에 살든 말든 평당 1억 원 넘는 집을 최대한 대출 받아 사서 팔아넘기면 평생 먹을 걱정을 안 하니 어찌 서민들은 원통하지 않을 수 없고, 기회를 잡으려고 남을 속이는 범죄 행위도 마다하지 않은 오늘의 현실이 아닌가? 봉준호 감독이 ‘기생충’에서 보여 주려는 것은 이런 이분법적 해석보다 반지하 공간 방이, 비록 폭우가 쏟아질 때 방안에 똥물이 넘치는 아픔도 있지만, 오히려 가족 간의 오손도손 위로하며 살아가는 서민들의 애환(哀歡)을 이해하며, 우리에게 진한 휴머니즘을 보여 주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하여 본다.
 
자본주의 사회가 도래하면서 우리 인간은 동일한 조건하에서도 우열이 나누어지고, 잘사는 자와 못사는 자가 공유하면서 살아감을 보여주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국민의 20%는 한 달 소득이 900만 원이 넘고, 하위 20%는 180만 원 미만으로 무려 5배가 된다. 여기서 영화는 빈곤의 상징인 반지하와 저택 간의 시각적 대비로, 우리가 사는 곳이 어디서라도 그곳에는 항상 문제가 있음을 단면으로 보여줌을 알아야 한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