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
- 일반
- 라이프
- 기획 / 인물
- 지역 / 노인회
- 오피니언
- 커뮤니티
조선총독부 시절의 지적원도가 대량으로 디지털 복원된다. 이에 따라 토지대장 분실 등의 사유로 토지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웠던 지역의 소유권 증빙이 보다 명확해질 전망이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상진)은 정부 3.0 일환으로 토지소유권 증빙자료인 조선총독부 지적원도 약 50여만 매를 고화질 컬러이미지로 디지털화해 오는 2017년부터 온라인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2018년까지 3개년 사업으로 추진되는 이번 디지털화는 조선총독부가 1912∼1918년 작성한 지적원도 50여만 매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서울·경기(74,106매), 강원·충청(155,435매), 전라·경상(275,529매) 순으로 추진한다.
이 지적원도는 마을 별로 모든 토지의 지번, 지목(대지, 답, 전 등 구분), 소유자명을 기록하고 있어, 6.25전쟁 때 토지대장 분실로 그 동안 토지소유권을 증빙하기 어려웠던 지역에서는 6.25전쟁 이전 소유권을 증빙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그간 국가기록원은 1979년도에 촬영된 지적원도 마이크로필름을 디지털 파일로 전환하여 대국민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그러나 저해상도(82DPI) 흑백이미지로 선명도가 떨어져 도면 내 각 지번의 면적, 지목, 소유자명 등 1,400만 건의 정보를 확인하기 어렵다 보니 이용자는 지적원도 원본이 보존된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을 직접 방문해야 했다. 특히 지적원도 원본에는 조상 땅 찾기의 핵심 정보인 소유자명이 연필로 매우 흐릿하게 표기되어 있어 기존의 저해상도 흑백이미지로는 정확한 판독이 곤란하였다.
지적원도가 고화질 컬러이미지로 온라인 제공되면, 국민들은 100년 전 마을별 토지의 모습과 함께 자신의 조상들이 어떤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는지 신속하게 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공개되는 지적원도 디지털 이미지는 종이기록 원본과 동일한 크기의 초고해상도로 디지털 전환한 것으로 옛날 조상들이 살았던 도로, 하천, 논과 밭, 철로, 지번경계 등 백여 년 전 고향땅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1:1 축척의 컬러이미지로 디지털화되므로 정확한 토지의 축척이 필요한 지방자치단체, 관련학계 등에서 더욱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이상진 국가기록원 원장은 “남한 전체 지적원도에 해당되는 약 50만여 매를 고화질 컬러이미지로 디지털화해 일반국민들이 쉽게 조상 땅을 찾을 수 있게 되고 지자체별 지적 민원업무, 학술자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