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1일부터 시행되는 인성교육진흥법에 의거하여 모든 학교에서는 의무적으로 인성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이 법이 생긴 이유는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시민을 육성하는 데 목적으로 출발했었나 논란이 여지가 발생한다. 모든 것을 법이라는 잣대를 통해 이젠 고귀한 풍성을 강제로 가르쳐야 하고 더구나 학교 밖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과정 인정제 등급이 도입되어 제3의 과외수업을 걱정하는 처지이다.
그러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어 타인이나 공동체 및 자연과 더불어 사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고자 하는 기본 취지에는 동의하고 왜 이런 상황까지 왔는지는 우리 모두가 반성해야 할 시점이다. 내용의 핵심가치는 예절, 효도,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 8가지로 인성교육의 주제가 되는 항목들로서 대한민국이 이런 후덕한 인재가 길러지면 더 이상 기쁨이 없겠다.
그런데 지금 우리들은 인생의 반 고비를 벌써 넘어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 웰·에이징(Well Aging)시대에 사는 사람들로 인품이랑, 인격이란 이런 단어가 나에게는 별다른 관심이 없다고 장담하지만 죽을 때까지 고독한 삶을 살지 않으려면 부단히 친구를 만나고 교제하는 생활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노후의 삶이 외롭지 않고 활기차게 9988234로 살아갈 수 있다. 이런 멋진 인생을 구가하려면 나 자신의 행동이 남에게 어떻게 보이는 가를 스스로 돌아보아야 하는데 대부분 나이가 들면서 갖는 나쁜 습성은 외고집이고 타협하지 않고 토라진다. 그래서 자신이 자식이나 이웃들에게 존경받고 노후에 친구와 함께 갈려면 최소한 우리는 노인보다 어르신이 되어야 한다.
필자가 50대 후반에 백화점에 들렀는데 대뜸 점원이 어르신이라 해서 놀라 당황한 적이 있다. 아마 내가 돈이 있어 보였는지 물건을 팔려는 점원의 상술인 줄 알지만 부담되는 말로서 어르신은 존경의 대상이다. 그러나 노인은 존경이 대상이 아니고 오히려 부담되는 대상으로 여김을 받는다면 그것은 우리들에게 문제가 있다. 그래서 노인과 어르신이 다른 점을 찾아보니 다섯 가지로 구별된다.
첫째는 주는 것 없이 받는 것 좋아하면 노인이고, 대가 없이 베풀기를 좋아하면 어르신이다. 둘째는 더 이상 배울 게 없다고 생각하면 노인이고, 아직도 배울 것 많다고 생각하면 어르신이다. 셋째는 간섭하기 좋아하면 노인이고, 인내하며 지켜보면 어르신이다. 넷째는 듣기보다 말하기를 좋아하면 노인이고, 말하기보다 듣기를 좋아하면 어르신이다. 다섯째는 자기가 옳다고 우기며 말로써 상대를 가르치려 들면 노인이, 상대의 얘기를 끝까지 경청하고 이해하려고 애쓰면 어르신이다. 참으로 옳은 말이다. 나이만 먹었다고 다 어르신이 아니다.
이제 노인 인구가 13.1%로 650만을 넘어서고 2026년이면 20%로 초고령 사회가 다가온다.
2060년이면 40.1%로 세계 1위로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되고 인구재앙시대가 도래한다. 더더욱 우리나라는 노인 인구 증가 속도가 세계에서 최고로 빠르고 그 원인은 결국 저출산에 있다. 지금 낮 시간 지하철 탑승객 절반은 노인세대로서 이제 노인이라고 의존적 사고로 젊은이들에게 짐이 됨은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지금 젊은이 들은 3포(抛) 세대로 고민이 너무 많다. 연애도, 결혼도, 아이도 포기하는 그들에게 노인들의 짐은 바른길이 아니다. 이제부터라도 의존적 사고에서 자립적인 사고로 노인보다 어르신으로 살아가야 한다.
지난 어려운 세월을 다 지난 어른들로서 이젠 자녀들의 올바른 인성교육의 모델로 처신을 해야 하고 미래의 더 밝은 나라를 걱정하며 베풀기를 좋아하고 인내하며 기다리는 심정으로 듣기를 생활화하여 열린 마음으로 우리 사회의 참된 어른으로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 주자.